직박구리[ brown-eared bulbul ]
몸길이 약 27.5cm이다. 몸 전체가 잿빛을 띤 어두운 갈색이다. 머리는 파란빛이 도는 회색이고 귀 근처의 밤색 얼룩무늬가 두드러진다. 무리를 지어 시끄럽게 지저귀는데, 울음소리가 음악적이고 특히 한국에서는 겨울에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새이다. 한반도의 중부 이남 지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겨울에는 보통 평지로 내려와 마을 부근 나무에서 3∼6마리씩 무리를 짓는다. 여름철에는 암수 함께 살고 이동할 때는 40∼50마리에서 수백 마리에 이르는 큰 무리를 지을 때가 있다. 주로 나무 위에서 살고 땅 위에 내려오는 일은 거의 없다. 날 때는 날개를 퍼덕여 날아오른 뒤 날개를 몸 옆에 붙이고 곡선을 그리면서 날아간다. 날 때에도 잘 울며 1마리가 울면 다른 개체가 모여들어 무리를 짓는 습성이 있다.
잡목림이나 낙엽활엽수림 또는 키가 큰 관목림에 나무껍질과 뿌리를 가지고 둥지를 튼 뒤 5∼6월에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겨울에는 주로 식물의 열매를 먹고 여름에는 동물성인 곤충을 잡아먹는다. 구북구 동부와 한국·일본·타이완·루손섬 등지에서 번식하며 북부의 번식 집단은 남쪽으로 내려가 겨울을 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직박구리 [brown-eared bulbul] (두산백과)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E5C3A573EBB27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CAE3A573EBB28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CA53A573EBB29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6393A573EBB2A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85B3A573EBB2C3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30B3A573EBB2D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6193A573EBB2E2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EB837573EBB2F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5CA37573EBB302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A8B37573EBB313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05B37573EBB32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DAF37573EBB33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D9637573EBB35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94F37573EBB362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79D34573EBB37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01F34573EBB38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04F34573EBB39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8C634573EBB3A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DBC34573EBB3C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CF034573EBB3D0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68334573EBB3E06)
[ d5 + AF-S VR 300mm F2.8G(IF) + TC-20E III AF-S TELECONVER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