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R8 리뷰 2] 초경량 풀프레임 미러리스의 탄생 캐논 EOS R8의 기본 성능
안녕하세요~ HJ_PHOTOGRAPHY입니다.^^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리뷰가 아닌 작성 기간이 정해져 있는 리뷰를 진행할 때는 평소보다 시간이 두 배 이상 빠르게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두 번째 리뷰를 작성하기 위해 밤늦은 시간 책상 앞에 앉아서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 오랜 시간 고민 중입니다. 아빠 사진가 시절 2주 차에는 아이들과 함께하는 AF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지만 이제는 전속모델님들의 초상권을 보호해줘야 하기에, 고민 끝에 초경량 풀프레임 미러리스 EOS R8의 가장 기본적인 성능에 대한 글을 작성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금부터 제가 작성하는 EOS R8의 두 번째 리뷰는 사용해 본 느낌 위주로 작성하는 지극히 비전문적인 내용입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재미있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OS R8은 유효 화소수 약 2,420만 화소의 저노이즈, 고감도 풀프레임 CMOS 센서와 DIGIC X 영상 엔진을 탑재했습니다. 정지 사진 촬영 시 전자식 셔터로 최대 약 40fps의 고속 연속 촬영이 가능하며, 상용 ISO 감도 100 ~ 102400, 확장 ISO 감도 L(ISO 50상당), H(ISO 204800)의 고감도 성능을 구현한 센서입니다. 또한 크롭 없는 4K 59.94fps를 포함한 동영상 촬영 시 6K 오버샘플링 프로세싱을 지원하여 고화질의 4K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상급기인 EOS R6 Mark Ⅱ와 동일한 센서가 장착된 EOS R8이 어떤 사진을 만들어 주는지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RF24-50mm F4.5-6.3 IS STM | 1/1600s | f/6.3 | ISO 100 | 50mm
RF24-50mm F4.5-6.3 IS STM | 1/125s | f/9.0 | ISO 100 | 24mm
RF50mm F1.8 STM | 1/1600s | f/1.8 | ISO 100 | 50mm
RF24-50mm F4.5-6.3 IS STM | 1/80s | f/6.3 | ISO 100 | 24mm
RF24-50mm F4.5-6.3 IS STM | 1/250s | f/6.3 | ISO 100 | 50mm
RF24-50mm F4.5-6.3 IS STM | 1/80s | f/13 | ISO 100 | 26mm
EOS R8로 촬영한 원본 사진을 100% 크롭한 결과물입니다. 비교적 좋은 환경에서 촬영한 사진들임을 고려해도 유효 화소수 약 2,420만 화소의 센서로 만들어낸 결과물은 생각보다 만족스러웠습니다.
■ 디지털 렌즈 최적화
EOS R8의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은 각 렌즈의 설계치에 기반하여 회절 및 수차를 보정하고, 로우패스 필터로 인해 저하되는 해상도까지 효과적으로 보정하여 뛰어난 해상력을 실현한다고 합니다.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이 일상적인 촬영 환경에서 어느 정도 성능을 보여주는지 확인해 봤습니다.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200 | 50mm
RF50mm F1.8 STM | 1/250s | f/1.8 | ISO 200 | 50mm
RF50mm F1.8 STM | 1/8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200 | 50mm
렌즈 수차 보정 메뉴에서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 선택 시 '색수차 보정'과 '회절 보정' 메뉴는 비활성화가 아니라 아예 사라져버립니다. 'EOS R8 메뉴의 퀄리티가 좋다!'라는 생각을 하면서 각 렌즈의 설계치에 기반하여 회절 및 수차를 보정하는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이 일반적인 색수차 및 회절 보정 메뉴와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비교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과 일반적인 색수차 및 회절 보정 메뉴의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비슷한 결과물을 보여 줬지만,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 메뉴 선택 시 색수차와 회절 그리고 해상도까지 한 번에 보정되는 편리함과 각 렌즈의 설계치에 기반한다는 심리적인 기대감까지 높아져서 기본 설정값인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 '표준'이 '고' 옵션보다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보여줬습니다.
■ 보정 관용도
EOS R8 리뷰어를 신청하면서 가장 궁금했던 부분이 보정 관용도였습니다. 이 부분에선 부정적 인식이 강하게 남아있는 캐논의, 거기에다 엔트리급 미러리스인 EOS R8이 과연 일상적인 상황의 촬영에서 어떤 결과를 보여줄지 RAW 촬영 후 라이트룸으로 명부와 암부를 평소보다 과장되게 조정해 봤습니다.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200 | 50mm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00s | f/1.8 | ISO 125 | 50mm
RF50mm F1.8 STM | 1/6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50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200 | 50mm
평소보다 과장된 보정의 결과물을 보면서 솔직히 좀 놀랐습니다. 캐논을 사용한 지가 너무 오래된 건지 제가 알던 캐논 카메라(?)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노출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도 보정 가능한 수준이었고 색 점보가 완전히 날아간 사진이 아니라면 제가 사용하는 타사 바디들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EOS R8의 보정 관용도는 아주 좋았습니다!!
■ 더욱 정확해진 자동 화이트 밸런스로 녹색 재현성 향상
화면에 녹색 식물 등이 많은 장면에서는 촬영 결과물이 푸르스름한 색조를 띠는 경우가 있었으나 EOS R8은 딥러닝 기술로 개발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알고리즘으로 이러한 현상을 억제합니다. 이에 녹색 식물(풀, 잎, 줄기)이 많은 장면에서 녹색을 더욱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RF24-50mm F4.5-6.3 IS STM | 1/80s | f/14 | ISO 100 | 35mm | AWB 분위기 우선
RF24-50mm F4.5-6.3 IS STM | 1/100s | f/14 | ISO 100 | 35mm | AWB 분위기 우선
■ 오토 화이트 밸런스
요즘 카메라들은 AWB 성능이 좋아서 조명을 사용한 촬영이 아니면 거의 자동으로 설정해서 사용합니다. EOS R8도 2주간 사용하면서 '자동 / 분위기 유지' 설정으로 사용하고 있고, 결과물도 만족스러웠습니다. 색온도 조정이 가능한 조명을 활용해서 EOS R8의 AWB 성능과 '분위기 우선', '화이트 우선' 옵션을 비교해 봤습니다.
자연광과 텅스텐 / 형광등 조명에서 촬영한 각각의 결과물입니다. 화이트 밸런스는 사용자에 따라 주관적인 견해가 많이 개입되는 부분이라 보는 사람에 따라 생각이 다르겠지만 전 '분위기 우선'이 더 마음에 듭니다. 화이트 우선 옵션의 색온도는 조금 낮게 설정되어 있는 느낌입니다. 아래는 다양한 조명의 실내에서 비교 촬영해 본 사진입니다.
RF50mm F1.8 STM | 1/8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6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6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0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00s | f/1.8 | ISO 100 | 50mm
상황에 따라 결과물의 차이가 제법 많이 발생했습니다. 오랜만에 사용해 보는 캐논 카메라의 색감이 긍정적인 면에서 예전과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마도 분위기 우선으로 사용하는 AWB 영향을 받은 것 같습니다. 분위기 우선의 따스한 색감을 선호하지만 역시 AWB는 사용하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EOS R8의 감도별 노이즈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는 높은 ISO 감도에서 촬영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며, 낮은 ISO 감도에서 촬영할 때는 이미지의 어두운 부분의 노이즈가 더욱 감소됩니다.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는 해제 / 저 / 표준 / 고 / 다중 촬영 노이즈 감소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번 테스트는 '해제'와 '표준' 설정 시 발생하는 감도별 노이즈를 비교해 봤습니다.
■ 전자식 선막
가정집 LED 조명 아래서 감도별 촬영 후 100% 크롭한 결과물의 노이즈 증가를 비교해 봤습니다.
전자식 선막으로 실사용에서 활용할 수 있었던 감도는 제 기준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해제 시 ISO 12800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선택 시 ISO 25600이며, 온라인 포스팅용으로는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해제 시 ISO 25600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선택 시 ISO 51200까지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 전자식
전자식 셔터 사용 시 실사용에서 활용할 수 있었던 감도는 역시 제 기준으로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해제 시 ISO 12800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선택 시 ISO 25600이며, 온라인 포스팅용으로는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해제 시 ISO 25600 /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선택 시 ISO 51200으로 전자식 선막과 같은 결과입니다.
사진 촬영 시 ISO 102400의 고감도 성능을 구현한 EOS R8은 셔터 방식(전자식 선막, 전자식)에 따른 성능 차이는 없었고 상당히 우수한 고감도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표준' 선택 시 노이즈 감소 효과가 다소 강하게 적용되는 모습이라 고감도 ISO 노이즈 감소 '해제' 또는 '저'로 설정해서 사용해도 일상적인 상황에서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 확장 감도
EOS R8은 확장 감도 L(ISO 50 상당)과 H(ISO 204800 상당)를 지원합니다.
확장 감도 L은 큰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었지만, H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아 보입니다.
RF24-50mm F4.5-6.3 IS STM | 1/160s | f/5.6 | ISO 25600 | 24mm
RF24-50mm F4.5-6.3 IS STM | 1/160s | f/5.6 | ISO 25600 | 24mm
깜박임이란 특정 광원의 간헐적 점멸로 이미지에서 띠 형상 또는 부분적 변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형광등은 초당 100 또는 120회의 깜박임이 발생하며 LED 광원에서는 초당 수백 또는 수천 회의 빠른 깜박임이 발생합니다. 깜박임 방지 촬영은 100Hz 또는 120Hz 이외의 주파수에서는 플리커를 감지할 수 없습니다. 즉 깜박임 방지 촬영은 형광등처럼 100 또는 120 Hz로 깜박이는 광원 아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인데 집에서 사용하는 조명이 모두 LED라 테스트를 진행할 수 없었습니다. 리뷰가 끝나기 전에 형광등 조명을 사용하는 곳에 방문한다면 다시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 전자식 선막
전자식 선막으로 LED 조명 아래에서 셔터 스피드를 변경하면서 깜박임 방지 촬영 OFF / ON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깜박임 방지 촬영 OFF 시 전자식 선막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셔터 스피드인 1/4000s에서도 깜박임의 영향은 없었고, 예상대로 LED 조명하에서 깜박임 방지 촬영 ON의 효과는 없었습니다.
■ 전자식
셔터 방식에서 전자식 셔터를 선택하면 '깜박임 방지 촬영' 메뉴가 비활성화되면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깜박임 방지 촬영 메뉴는 선택할 수 없지만 다른 부분은 전자식 선막과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셔터 스피드 1/4000s에서 RF50mm F1.8 STM 렌즈의 최대 개방 시 발생하는 비네팅의 영향으로 주변부가 어둡게 촬영됐지만, 줄 무늬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플리커 억제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이 부분은 리뷰어 활동 기간 동안 더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본 후 마지막 리뷰에 최종 결과를 업데이트하겠습니다.
■ HF 깜박임 방지 촬영
LED 광원은 초당 수백 또는 수천 회의 비교적 빠른 깜박임이 발생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HF 깜박임 방지 촬영 옵션은 깜박임 주기에 셔터 속도를 정확히 일치시켜서 깜박임 문제를 줄여줍니다. 아래 동영상과 사진은 HF 깜박임 방지 촬영 | 자동 감지의 작동 모습과 그 과정에서 테스트 촬영한 결과물입니다.
RF50mm F1.8 STM | 1/127.0s | f/1.8 | ISO 500 | 50mm
HF(고주파수) 깜박임 방지 촬영은 정지 이미지와 동영상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형광등의 100 Hz 또는 120 Hz 주파수의 깜박임과 그보다 높은 LED 주파수 깜박임도 검출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셔터 방식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라 잘 활용하면 플리커 방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입니다.
촬영시 사진을 처리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색상, 톤 및 기타 속성을 향상시킵니다. 피사체 또는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 등록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및 기타 설정을 각 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필터 효과를 사용하여 어안렌즈, 토이카메라, 미니어처 효과 등의 특수 효과를 적용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습니다.
■ 픽쳐 스타일
EOS R8은 8종류의 픽쳐 스타일과 픽쳐 스타일 기본 설정값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3EA)을 지원합니다. 리뷰를 진행하면서 무보정 사진 정보를 제공해 드리기 위해 색조가 장면에 알맞게 자동으로 조정되는 자동 모드의 JPGE 무보정 사진을 리사이즈해서 게시하고 있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RAW 파일로 촬영 후 기본적인 보정 과정을 거친 JPGE 파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픽쳐 스타일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JPGE를 주로 사용하는 분은 픽쳐 스타일과 필터 효과 등의 베이직 존 모드를 잘 활용하면 보다 좋은 사진을 편하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다만 DSLR 시절부터 거의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는 픽쳐 스타일 종류를 다양화하고 꾸준히 업데이트해 주는 등의 노력은 필요해 보입니다.
■ 필터 효과
수채화 효과 | RF24-50mm F4.5-6.3 IS STM | 1/320s | f/10 | ISO 100 | 24mm
미니어처 효과 | RF24-50mm F4.5-6.3 IS STM | 1/640s | f/5.6 | ISO 100 | 24mm
토이카메라 효과 | RF24-50mm F4.5-6.3 IS STM | 1/320s | f/11 | ISO 100 | 50mm
EOS RP를 사용해 보지 못했지만 EOS R8은 EOS RP와 비교해서 카메라 시작 시의 부팅 시간이 단축되고 EVF와 모니터 디스플레이의 반응 속도가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카메라 작동 시 부팅 시간이 약 0.4초 인지 확인해 보지 못했지만 이 부분이 불편하다는 생각은 없었습니다. 전원 ON 시키고 셔터를 누르면 바로 촬영이 가능했고, EVF & LCD 모니터 반응 속도도 빠르고 좋았습니다.
메뉴와 재생 화면 그리고 터치 AF와 터치 셔터 작동 모습입니다.
EOS R8의 스크린은 TFT 컬러 액정 모니터로 크기는 약 7.5cm(3.0형)입니다. 약 1,620,000 도트의 화질은 나쁘지 않았고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반응 민감도와 속도도 빠르고 사용에 불편함이 없었습니다.
RF24-50mm F4.5-6.3 IS STM | 전자식 셔터 | 전체 영역 AF | SERVO | 검출할 피사체 AUTO | 고속 연속 촬영+
도로변에서 약 50km(촬영 장소 바로 앞에 50km 과속 단속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서 대략 유추해 본 속도)로 달리는 차량을 53장 고속 연속 촬영+ 모드로 촬영 후 GIF로 만들어 봤습니다. 상급기인 EOS R6 Mark Ⅱ와 동일한 연사 속도를 블랙아웃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참 만족스러웠습니다.
같은 장소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식 선막과 전자식 셔터로 촬영한 사진을 비교해 봤습니다.
RF50mm F1.8 STM | 1/8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60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60s | f/1.8 | ISO 100 | 50mm
여기까지는 JPGE 원본 리사이즈 사진이며, 아래 사진 2장은 RAW 촬영 후 라이트룸에서 보정한 사진입니다.
RF50mm F1.8 STM | 1/125s | f/1.8 | ISO 100 | 50mm
RF50mm F1.8 STM | 1/60s | f/1.8 | ISO 100 | 50mm
전자식 셔터를 전자식 셔터라 부를 수 없는 카메라가 많습니다??!! 전자식 셔터를 전자식 셔터라 부를 수 있는 EOS R8의 전자식 셔터를 약 2주간 사용해 본 소감은 "생각보다 성능이 좋다!"입니다. 일상적인 상황의 실내·외에서 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었고 결과물의 차이도 느낄 수 없었습니다. 물론 마지막 리뷰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전자식 셔터 테스트에서 고속 연속 촬영 시 젤로 현상이 발생했지만 그럼에도 EOS R8의 전자 셔터 성능은 좋았습니다.
EOS R8은 크롭 없는 4K 59.94fps를 포함한 동영상 촬영 시 6K 오버샘플링 프로세싱을 지원하여 고화질의 4K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또한 Full HD 동영상도 사진과 동일한 풀프레임 화각으로 촬영할 수 있습니다.
제가 동영상 촬영은 초보라 다른 부분은 잘 모르겠지만 일단 사용하고 있는 또는 사용해 본 카메라들과 비교해서 4K 영상 촬영이 쉬웠습니다??!! 복잡하지 않고 직관적인 메뉴 구성과 사진/동영상 촬영 전환 버튼 추가로 조작 편의성 향상, 30분의 동영상 녹화 시간제한 해제, 카메라 내부의 온도 상승의 효과적 억제 그리고 빠르고 정확한 AF 성능은 고화질의 동영상 촬영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다만 EOS R8의 동영상 디지털 IS 성능은 아쉬웠습니다.
사진 촬영에서는 바디 손떨림 방지의 부재가 별로 아쉽지 않았지만 동영상 촬영 시에는 아쉽게 느껴졌습니다. 물론 짐벌 등 보조 장비 또는 IS가 장착된 렌즈를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지만 저와 같은 영상 초보가 IS가 없는 렌즈로 별도의 보조 장치가 없이 손에 들고 촬영할 경우 아쉬움이 더 크게 다가왔습니다.
이상으로 "초경량 풀프레임 미러리스의 탄생 캐논 EOS R8의 기본 성능"편을 마침니다. 그럼.. (^^)(__)(^^)
EOS R8 샘플 사진
RAW 촬영 후 JPEG 변환 / 보정한 사진입니다.(10장)
여기서부터 무보정 JPEG 원본을 리사이즈한 사진들입니다.(30장)
- SLR 클럽 리뷰어로써 캐논코리아 주식회사로부터 제품을 대여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
홈페이지 http://www.hyunjinpapa.co.kr
티스토리 블로그 http://hjjwpapa.tistory.com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gissue94
인스타그램 http://www.instagram.com/hj_photograph/?hl=ko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HJReview/?modal=admin_todo_tour
#캐논 #hj리뷰 #slr리뷰어 #EOSR8리뷰어 #미러리스 #카메라 #EOSR8 #Canon #R8 #eosr8리뷰 #hj사진이야기 #R8첫촬영 #slr클럽 #rf2450mm #rf2450번들렌즈 #EOSR8 #초경량풀프레임 #rf50mmf18stm #rf80mmf2stm
'체험사용기 > 캐논 EOS R8 리뷰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OS R8] HDR 모드 촬영 (0) | 2023.04.19 |
---|---|
작고 가벼운 바디의 장점 중 하나는..??!! (0) | 2023.04.19 |
[EOS R8] 오늘도 EOS R8 무보정 사진입니다.^^ (0) | 2023.04.12 |
[EOS R8] 인생은...??!! (0) | 2023.04.12 |
[EOS R8 리뷰 1] 초경량 풀프레임 미러리스의 탄생 캐논 EOS R8의 첫인상 (0) | 2023.04.07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EOS R8] HDR 모드 촬영
[EOS R8] HDR 모드 촬영
2023.04.19 -
작고 가벼운 바디의 장점 중 하나는..??!!
작고 가벼운 바디의 장점 중 하나는..??!!
2023.04.19 -
[EOS R8] 오늘도 EOS R8 무보정 사진입니다.^^
[EOS R8] 오늘도 EOS R8 무보정 사진입니다.^^
2023.04.12 -
[EOS R8] 인생은...??!!
[EOS R8] 인생은...??!!
2023.04.12